Life/Society
-
강화도 루지는 위험해요Life/Society 2021. 2. 15. 23:48
강화도에서 루지를 타고 내려온 막내 아이의 얼굴이 사색이 되었다. 어깨를 움켜쥐고 아프다고 했다. 이유를 물었더니 루지가 뒤집혀져서 다쳤고, 속도를 조절하지 못해서 무서웠단다. 꽤나 긴 거리를 무서운 속도로 질주하며 중간 중간 속도에 못이겨 뒤집어지기도 했다는 말이다. 어떻게 된 일인가? 그림과 글로 설명하겠다. 루지의 레버는 아래 그림과 같다. 당기지 않으면 ①의 위치에 있다. 여기에 레버가 위치하면 바퀴가 움직이지 않는다. 말하자면, 주차 상태인 셈이다.레버를 힘있게 당겨서 ② 위치로 가다가보면, 어느 지점에서 주차 브레이크가 풀린다. 루지는 브레이크 없이 자유롭게 가속하며 비탈길을 내려갈 수 있다. ②에서 ③으로 당기면 자동차의 풋브레이크 처럼 서서히 제동이 걸린다. ①(주차 브레이크)와 다르게 ③..
-
사이비 환경 과학자Life/Society 2019. 3. 25. 11:41
이 과학자란 분이 미세먼지가 중국의 영향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한다.중국의 영향이 정확히 몇%인지 말할 수 없다. 정확한 유입 경로가 파악이 되지 않았다. 미세먼지는 측정하는 확실한 방법이 개발되지 않았다. 따라서, 미세먼지가 중국의 영향이라고 말 할 수 없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상관관계나 연관성을 말할 수 있다. 정확하지 않더라도 범위나 확률을 말할 수도 있다. 이를 토대로 가설을 세울 수 있다. 편서풍과 미세먼지가 일치하는 것을 보면 상관관계가 있다. 아이가 있는 아빠라서 환경에 관심이 많다. 미세먼지가 있는 날과 없는 날 자주 기상정보를 찾아봤다. 편서풍이 부는 날 미세먼지 농도가 높았고, 다른 방향의-예를 들면, 시베리아에서 불어 오는- 바람에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았다. 물론 내가 정..
-
진짜는 굳이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Life/Society 2017. 7. 5. 22:50
얼마 전 꿈에서 내가 나한테 진짜는 굳이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 고 말했다. 꿈의 통찰에 완전히 감탄했다. 가짜는 본질의 회피하기 위해서 다양한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뭔가 설명이 필요하고 더구나 설명이 복잡하면 그건 본질이 아니다. 누군가의 관계에 꼭 의미를 붙여야만 한다면 진정한 만남이 아니다. 자신이 하는 일에 이런 저런 합리화가 필요하다면 분명히 그른 일이다. 나의 감정/느낌/생각에 대한 설명이 길어진다면 거짓을 꾸미고 포장하는 것이다. 진짜는 짧고 단순하고 명쾌하다. 추가되는 내용이 있다면 단지 부연하는 것 뿐이다. 덧붙이지 않아도 아무런 상관이 없다. 가짜는 온갖 부차적인 이유와 설명이 꼭 필요하다. 진실의 가리기 위해서 수많은 부연이 수반된다.
-
사람을 믿는 기준Life/Society 2017. 7. 5. 22:39
도덕과 윤리에서 사람을 믿고 도움을 줘야 한다라고 배웠다. 아무나 어떤 상황에서도 믿어야 할까? 무조껀 신뢰하는 것은 항상 불신하는 것만큼이나 어리석다. 이 글에서 믿음의 기준에 대해서 탐구하고자 한다, 상대방이 반격하더라도 막아낼 수 있다면 웬만하면 믿음을 가져라. 그러나, 나를 지킬 수 없을 것 같으면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런 이유로 집에 혼자 있는 아이나 여성은 아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함부로 집에 들어오게 하면 안된다. 어린이가 택배 기사의 방문에 대문을 열어주지 않는 것은 그분이 나쁜 사람이라서가 아니라 자신을 지킬 수 없기 때문이다. "나 못 믿어?" "속고만 살았어?" 별의 별 소리를 해도 상대의 공격을 막을 수 없다면 방어적으로 나가야한다. "사람을 믿고 열린 자세로 가져야 합..
-
뛰어난 실력자보다 별로인 사람들이 세상을 활개치는 이유Life/Society 2013. 9. 8. 17:29
예전 회사에서 선임과 함께 세미나에 참석한 적이 있었다. 여러 강사들이 있었는데, 그 중에 내 선임이 잘 아는 분도 있었다. 그분은 오늘 강의하는 플랫폼에 대한 저서와 강의로 유명했다. 하지만, 선임은 그분을 평가하기를 "실력도 없으면서 말만 많다"고 격멸하듯 말했다. 인지도는 말 그대로 많이 알려졌다는 뜻이다. 인지도와 실력은 항상 비례할 수는 없는데, 종종 우리는 이 둘을 하나로 생각한다. 인지도는 주로 TV나 신문과 같은 미디어 매체를 통하거나 직접 저술한 책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말(또는 글)에 재주가 있어야 한다. TV와 같은 매체에서 유명해지려면 조리있고 알기 쉽게 설명해야 하며, 더불어 유머까지 겸비하면 금상첨화이다. 신문이나 책과 같은 곳에서는 짜임새 있는 구성과 간결한 문장이 ..
-
행복은 IT 기술의 발전이 아니라 개인의 태도에 달렸다Life/Society 2013. 8. 2. 18:00
IT 기술은 계속 진보한다. 컴퓨터는 서버/터미널, 개인용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태블릿으로 발전하고 있다. 네트워크 역시 대역폭이 증가함에 따라 텍스트에서 멀티미디어로, 유선에서 무선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제는 모바일 기기와 무선 인터넷의 발달로 항상 인터넷에 연결되는 시대가 되었다. quad-head MacBook Air (sorta...) by blakespot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은 점점 행복할 것 같다. 언제 어디서나 게임을 할 수 있고, 누군가와 연락하기 위해서 유선망에 접속할 필요가 없다. 기성 언론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뉴스들을 SNS에서 볼 수 있고 내 목소리를 낼 수도 있다. 한편으로, 인간이 욕구를 표출하는 다양한 수단들, 예를 들면, 게임, 채팅, 게시글 등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
자본주의의 노예Life/Society 2013. 3. 26. 10:10
내가 회사의 일을 하는 첫번째 이유는 돈을 벌기 위해서이다. 돈을 버는 것이 일하는 목적의 전부는 아니지만,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이것이 충족되지 않으면, 다른 부차적인 이유는 전부 무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금 하는 일이 아무리 재미있어도 생계를 꾸리기에 무리가 있으면 당장 이직을 결정할 것이다. Look after the pennies and the pounds will look after themselves by Mukumbura 그런데 언젠가부터 직업 이외의 다른 행위를 돈과 결부시키고 있었다. 모든 행위는 결과적으로 통장에 돈이 들어오거나, 장기적으로 돈으로 바뀔 수 있는 경력, 명성 등을 얻어야 했다. 예를 들면, 교양 서적을 고를 때, 취미로 오픈 소스를 선택할 때, 얼마나 재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