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트 백
-
테스트 주도 개발 - 둘째날Programmer/Etc 2013. 5. 7. 18:21
최대한 빨리 테스트에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 중에, 캐스팅의 남용이 있다. 돌아가고 나면 이러한 코드를 적절한 자리로 옮기거나 다형성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캐스팅을 제거한다. 지난 번 포스팅한 글을 다시 불러와서 갱신해보자. 최종 목적은 잘 돌아가는 깔끔한 코드의 작성이다. 이를 위해서 아래 과정을 반복한다.최대한 빨리 테스트에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스텁 구현, 상수를 사용한 하드 코딩, 복사&붙여넣기 신공, 캐스팅을 마구 남용한다.리펙토링을 통해서 스텁을 채우고, 상수와 중복을 제거하고, 캐스팅을 제거하기 위한 적절한 코드 옮김이나 다형성을 사용한다. 외부 프로토콜은 같으면서 내부 구현이 다른 객체를 정의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저자는 Money와 비슷하게 동작하지만 합을 나타내..
-
테스트 주도 개발 - 첫째날Programmer/Etc 2013. 5. 6. 16:17
최종 목적은 잘 돌아가는 깔끔한 코드의 작성이다. 이를 위해서 아래 과정을 반복한다.최대한 빨리 테스트에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스텁 구현, 상수를 사용한 하드 코딩, 복사&붙여넣기 신공을 마음껏 발휘한다.리펙토링을 통해서 스텁을 채우고, 상수와 중복을 제거한다. 무엇을 어떻게 개발할지보다 무엇을 테스트할지를 먼저 생각한다. 논외지만 흥미로운 이야기팩토리 생성자를 사용하면 클래스의 사용과 클래스 구조 간의 의존성을 제거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리펙토링 과정에서 불필요해진 하위 클래스의 제거가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