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
-
사람을 믿는 기준Life/Society 2017. 7. 5. 22:39
도덕과 윤리에서 사람을 믿고 도움을 줘야 한다라고 배웠다. 아무나 어떤 상황에서도 믿어야 할까? 무조껀 신뢰하는 것은 항상 불신하는 것만큼이나 어리석다. 이 글에서 믿음의 기준에 대해서 탐구하고자 한다, 상대방이 반격하더라도 막아낼 수 있다면 웬만하면 믿음을 가져라. 그러나, 나를 지킬 수 없을 것 같으면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 우선이다. 이런 이유로 집에 혼자 있는 아이나 여성은 아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함부로 집에 들어오게 하면 안된다. 어린이가 택배 기사의 방문에 대문을 열어주지 않는 것은 그분이 나쁜 사람이라서가 아니라 자신을 지킬 수 없기 때문이다. "나 못 믿어?" "속고만 살았어?" 별의 별 소리를 해도 상대의 공격을 막을 수 없다면 방어적으로 나가야한다. "사람을 믿고 열린 자세로 가져야 합..
-
12장 신뢰와 리더쉽Leader/Project Management 2007. 3. 13. 11:36
리더쉽은 신뢰로부터 옵니다. 신뢰와 친밀감은 다릅니다. 업무에 있어서 후자보다는 전자가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약속을 지킴으로써 신뢰가 쌓입니다. 약속은 일방 통행이 아니라 둘 사이의 관계입니다. 예를들어, 요청한 사항이 변경되면 미리 통보하십시요. 작은 약속도 가볍게 여기지 마십시오. 다른 사람에게 한 약속을 가볍에 여길수록, 그 사람이 내게 품은 신뢰가 떨어집니다. 팀에게 신뢰를 보여줌으로써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정한 권력 위임은 신뢰를 주어야만 가능합니다. 보통, "관리자가 내주기를 두려워하는 신뢰 수준"과 "팀이 관리자의 리더쉽을 따르는데 필요한 신뢰 수준"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권력의 유형에는 제도적 권력과 절차적 권력이 있습니다. 전자는 조직이나 직위로부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