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2장 일정Leader/Project Management 2007. 2. 12. 14:04
일정은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의미가 있지, 그것을 만드는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일정은 '시간에 대한 약속', '기여도 관찰', '관리가능한 단위로 쪼개기' 등의 필요에 의해서 존재하며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일정은 확률입니다. 따라서 일정이 완벽할 필요가 없습니다. 대신에 일정을 논할때는 항상 확률을 덧붙이도록 합니다. 일정의 확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좋은 설계를 해야 합니다. 좋은 설계은 간과된 문제들을 없애고 좋은 예측을 할 수 있게 합니다. 일정은 설계, 구현 그리고 테스트라는 세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기간은 그것을 3등분해서 배분합니다. 합당한 이유가 있다면 균등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정을 세우기 어려워하는 팀원이 있다면 적절한 질문으로 구체적인 생각을 하도록 유도합니..
-
지식의 추구와 수학Life/Books 2007. 1. 24. 20:12
이 책은 과학 탐구에 있어서 수학의 역활과 가치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근대까지,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슈레딩거까지, 과학철학에서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과학 탐구의 영역은 물리학, 그 중에서 역학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경험과 직관은 우리를 옳지 못한 방향으로 이끌어간다. 그 이유는 책의 초반에 예를 들어 보여준다. 착시현상으로부터 감각의 오류에 대해서 보여준다. 순간 떠오르는 답이 틀리는 사례를 통해서 직관의 오류를 경험했다. 진실을 탐구하는 가장 강력한 것은 이 책에서는 이성이라고 했다. 수학은 감각과 직관의 오류가 개입할 수 없는 순수 이성의 산물이다. 따라서 수학은 진실에 접근하는 최고의 도구이다. 수학이 과학 탐구에 효과적으로 사용된 것은 케플..
-
백만번의 변명Life/Books 2007. 1. 10. 01:40
책을 처음 받던 날, 책의 뒷 표지를 보고 부부 상담가가 펼쳐놓은 여러 부부들의 사례집이라고 생각했다. 즉, 각기 다른 사례들을 통해서 어떤 공통의 원인을 발견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면서 교훈을 보여주는 책으로 기대했다. 1막을 읽을때까지도 그렇게 생각했다. 1막의 이야기를 그대로 이어가는 2막을 읽으면서 점점 내가 기대했던 종류의 책이 아니라는 알게됐다. 내가 즐겨읽고 관심있는 책은 인간의 문제-철학, 종교, 사상, 인간관계 등을 관련 전문가가 쉽게 풀어쓴 것, 이와 관련되어서 작가가 실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한 것이다. 예를 들자면, 전자는 "상자안에 사람, 상자밖에 사람"이고, 후자는 "무탄트 메세지"가 되겠다. 소설은 별로 관심이 없었다. 소설가는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보다 인간문제에 있..
-
자유와 조화Life/Society 2007. 1. 8. 15:13
자유는 스스로를 행복하게 합니다. 나를 가두는 관념들을 부수면, 어린 아이처럼 순수해지고 무한한 가능성과 창조력을 생산하게 됩니다. 궁극적으로는 나는 행복, 기쁨 그리고 사랑을 창조하게 됩니다. 아이들이 어른보다 더 많이 웃는 것은 결코 그들의 삶이 더 재밌기 때문은 아닙니다. 조화는 모두를 행복하게 합니다. 우리를 갈라놓는 것은 머리 속에 들어있는 서로 다른 고정된 정보들입니다. 상처받았던 정보들이 서로에게 다가서기를 주저하게 하고, 우리의 머리속에 지배하는 서로 다른 정보들이 갈등과 싸움을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서로에 대한 또 다른 정보가 서로 화해하기를 어렵게 만듭니다. 우리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사고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면, 먼저 다가서고 서로 잘 융화되어서 조화로운 삶을 만들 것 입니다.
-
코드북(The Code Book)Life/Books 2007. 1. 8. 15:00
이책은 감추고 싶은 욕망과 들추고 싶은 욕망 사이에서의 치열한 전투를 생생하게 그려냈다. 사람들은 필요에 따라서 비밀을 기록으로 남기거나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야 한다. 비밀이 개인의 기억 밖으로 나온 이후부터는 위험에 처하게 된다. 비밀을 지키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와함께 여러가지 이유-이해득실, 단순한 호기심 등-에서 비밀을 깨내는 사람들의 도전도 함께 시작되었다. 사이퍼/디사이퍼의 발전은 자연의 생태계의 진화와 유사했다.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의 관계와 같이 암호개발자와 해독가 사이의 경쟁이 일어난다. 새로운 사이퍼가 나오면 둘간의 싸움에서 당분간 암호개발자 승리한다. 그러나 그것이 계속될 수 없다. 언젠가는 암호해독가는 새로운 그것을 깨뜨리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
자유형에서 팔을 앞으로 되돌리는 요령Life/Health 2006. 12. 26. 10:56
크리스마스 연휴 첫날 내동생의 여자친구에게 자유형의 팔을 되돌리는 동작을 배웠다. 이전에는 마치 풍차를 돌리듯이 팔을 펴서 앞으로 옮겼다. 이번에 교정한 자세는 1) 팔꿈치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하고, 2) 팔에 힘을 빼서 손끝이 수면을 스치듯이 움직이며, 3) 팔이 아니라 어깨를 돌린다는 느낌으로 하는 것이다. 숨쉬는 방향-내 경우는 오른쪽-의 팔은 잘 보여서 쉽게 고칠 수 있었다. 그에 반해 반대쪽, 즉 왼팔은 보이지 않아서 정확한 동작으로 하고 있는지 알 수 없었다. 내 생각에는 배운대로 정확히 하고 있었지만, 밖에서 바라보는 이들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가르침대로 십여미터 헤엄치고 나름대로 만족하면서 강사님를 바라보면 "오른팔은 괜찮은데요... 왼팔은 이렇게... 저렇게... 틀렸어요"라는..
-
내가 좋아하는 책의 조건Life/Books 2006. 12. 22. 10:27
요즘에는 거의 책을 읽지 않는다. 한달에 한 권 보기도 힘들다. 올해는 대략 대여섯권의 책을 읽었는데, 절반정도를 끝까지 읽었고 나머지는 중간에 포기했다. 내가 끝까지 읽은 것과 아닌 것을 분석하면 앞으로 책을 고르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첫째, 호기심을 자극해야 한다. 즉, 내 관심분야였거나 책의 앞부분을 통해서 호기심을 이끌어내야 한다. 그동안 호기심을 가지고 읽었던 내용은 "수학과 철학적인 사고", "쉬운 내용의 물리학과 천문학", "영혼의 성장과 인간에 대한 탐구"등이었다. 둘째, 문장이 어렵지 않아야 한다. 원서의 경우는 쉬운 단어를 사용하고 간결한 문장이어야 한다. 문장이 난해하면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애써서 그 문장을 이해했는데 담고 있는 내용이 별거 아니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