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장 의사소통과 관계Leader/Project Management 2007. 3. 6. 14:53
오늘날의 의사소통에서 그것의 품질과 효과,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의사소통은 전송, 수신, 이해, 동의, 조치라는 기본 상태를 가집니다. 원하는 일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면 이것을 사용하여 어떤 단계에 문제가 생겼는지 파악합니다.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문제는, 1) 확인되지 않은 가정, 2) 내용을 명확히 절달하지 못함, 3) 상대의 말을 주의깊에 듣지 않음, 4) 지시, 명령, 5) 감정이 다른 형태로 표출됨, 6) 인신 공격, 7) 비웃음, 조소, 비난 등이 있습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1) 핵심 사항에 대한 가정을 논의 중에 습관적으로 밝힘 2) 다른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음, 3) 내가 모르는 것을 상대방이 알고 있다는 가능성을 인정..
-
들을 준비가 되어 있습니까?Life/Communication 2007. 3. 5. 11:42
요즘에 개콘에서 "대화가 필요해."라는 코너가 있습니다. 대화가 없는 현대 가족을 풍자한 개그입니다. 코메디보다는 덜하지만 우리 가족 역시 그리 대화가 많지 않습니다. 저번주에 가족끼리 가볍게 술한잔 하면서 그와 비슷한 얘기가 나왔습니다. 이 얘기는 이번 자리 뿐만이 아닙니다. 가족간의 모임에서 종종 아버지가 이런 얘기를 꺼내십니다. 아버지가 처음에 말을 꺼내기는 하지만 가족 모두 대화가 부족하다는 것을 모두 느끼고 있습니다. 매번 비슷한 얘기가 나온다는 것은 대화의 방법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저의 의견은 어느 누구도 들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우리 대화하자!"라는 말은 "내가 너에게 할말이 있어"라는 의미이고, "니 문제를 얘기해 봐"는 "니가 문제를 얘기하면 내..
-
8장 올바른 결정 내리기Leader/Project Management 2007. 3. 2. 17:46
의사결정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어느 결정에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부을지 결정해야 합니다. 이것을 메타-의사결정이라고 합니다. 의사결정의 첫번째는 중요성을 판단하는 겁니다.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결정으로 생기는 영향을 고려합니다. 시간이 결정에 미치는 효과를 판단합니다. 필요하다면 전문가와 같이, 또는 전문가에게 위임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가지 선택방안을 찾아서 평가하고 판단합니다. 여러 선택방안에 차이가 별로 없으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합리적인 방안을 선택합니다. 결정에 따르는 위험부담이 크거나 선택 방안의 본질에 익숙하지 못하면, 여러 대안을 비교 평가하여 판단을 합니다. (tip: 여러가지 선택방안을 선정할 때,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음"이라는 선택안을 항상 포함합니다.) 선택의 영역을 밝혀준 자..
-
7장 명세서Leader/Project Management 2007. 2. 27. 16:56
명세서는 문서를 만들고 읽는 사람과 현재의 프로젝트에 따라서 여러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명세서는 올바른 제품을 만들게 하고, 계획 수립 단계의 마침표를 찍으며, 관련자들이 검토와 피드백을 내놓도록 도와줍니다. 명세서에 담기는 정보의 다섯 가지 유형은, 요구사항, 기능, 기술 명세서, 작업 항목 록록, 테스트 기준과 중간 목표 종료 기준이 있습니다. 명세서 작성은 한 명이 설계 도중에 시작하며 설계에 대한 이해가 쌓이면서 이를 따라가도록 합니다. 검토와 피드백은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개선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명세서의 품질을 정의하고 제어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팀이 미해결 문제들을 잘 해결할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면 명세서를 검토하고 완료할 수 있습니다. 명세서를 완료하면 다음으로 진행하기전에 팀..
-
6장 아이디어 관리하기Leader/Project Management 2007. 2. 23. 11:58
이전에 설명했던 작업은 문제 영역을 키우는 과정이고, 이 글은 가장 나은 설계안으로 문제 영역을 좁히는 과정입니다. 최종적으로 모든 설계 결정을 내리고 명세서로 문서화를 합니다. 이 과정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합니다. 설계의 과정은 반복입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세부 사항을 구체화해 간다는 뜻입니다. 설계 과정에서 발생할 문제를 미리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대부분 일단 결정을 내리고 앞으로 나가는 과정에서 문제를 발견하게 됩니다. 따라서 잘못된 결정으로 밝혀지더라도 일단 앞으로 나가야 합니다. 아이디어를 관리하기 위해서 몇개의 점검 지점을 둡니다. 비전과 개념 증명, 아이디어 그룹화/목록, 세가지 설계안, 두가지 설계안, 한가지 설계안, 명세서로 점검 지점을 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이디어를 관리하는..
-
5장 아이디어 내기Leader/Project Management 2007. 2. 21. 17:47
요구사항으로부터 좋은 명세서를 작성하려면 요구사항의 품질은 높이거나 설계를 세심하게 탐구해야 합니다. 우수한 요구사항은 고객의 요구와 프로젝트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문제를 명확히 정의합니다. 좋은 질문을 던져야 좋은 아이디어가 나옵니다. 좋은 질문은 주의를 문제의 핵심에 집중시키거나 미처 생각지도 못했던 창의적인 방향으로 유도합니다. 나쁜 질문은 권위적이고 부정적인 어감으로 상대방을 위축시키고 원하는 대답을 얻지 못하게 합니다. 많은 아이디어에서 좋은 아이디어가 나옵니다. 여러 아이디어를 통해서 나쁜 아이디어와 좋은 아이디어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에는 즉흥 게임이 있습니다 . 이 게임의 네가지 규칙은, 1) "예, 그리고..."(이전 발언자의 아이디어를 받아서 진전시..
-
3장 할 일을 파악하기Leader/Project Management 2007. 2. 12. 21:38
계획수립에 대한 관점에 대해서 이해하기 쉬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요구사항('무엇을 해야 하지?') -> 설계/명세('어떻게 하지?') -> 구현('하자!') '요구사항의 결정'/설계/기술/예산의 권한에 대해서 초기에 정하고 팀원 모두에게 알립니다. 요구사항에 관한 문서들은 마케팅 요구사항 문서(MRD: Marketing Requirement Document), 비전/범위 문서, 명세서, 그리고 WBS(Work Breakdown Structure) 등이 있습니다. 계획을 보는 관점에는 비지니스 관점, 기술 관점 그리고 고객 관점이 있습니다. 세 관점은 서로 교집합이 찾아서 프로젝트의 목표를 세웁니다. 계획 수립의 단계는 MRD 비전 명세서 WBS 로 이루어집니다. 고객의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