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
레드햇 리눅스에서 기본 게이트웨이 장치 설정Programmer/Computer Skills 2009. 1. 30. 15:48
개발팀의 내부에서 테스트 하기 위한 192.168.0.* 망과 외부의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192.168.1.* 망으로 구성했습니다. 따라서 개발과 일반 업무를 동시해 수행하기 위해서는 2개의 네트워크 카드를 사용해서 각각 다른 망에 접속해야 합니다. 그런데, 2개를 동시에 사용하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었습니다. 해결하는 방법은 인터넷에 물려있는 망과 연결된 네트워크 카드를 기본 게이트웨이 장치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etc/sysconfig/network 파일에 아래의 내용을 추가합니다. GATEWAYDEV=eth0 GATEWAY=192.168.1.1
-
링크(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Life/Books 2007. 4. 7. 09:17
문제를 잘게 쪼개서 분석하는 방법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왜냐하면, 전체를 한꺼번에 살펴본다는 것은 방대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다. 전체를 나누어 부분을 만들어서 그것을 살펴보고, 필요하다면 그 부분을 다시 더 작은 부분으로 나눈다. 이제 작은 부분을 모두 파악했다. 그런데 전체를 여전히 볼 수 없다. 이유는 각 부분의 관계를 모르기 때문이다. 네트워크를 이해해야만 전체를 볼 수 있다. 이 책은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학자가 그것을 쉽게 풀어 쓴 글이다. 책의 내용은 방대한 지식을 다루고 깊이있는 학문을 다루지만, 그 내용은 쉽다. 글쓴이의 내공을 느낄 수 있다. 방대한 지식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아는 분이라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서 네트워크의 이해에 한발짝 전진할 수 있게 되었다.
-
구글의 개발 문화와 척도없는 네트워크 모델Leader/Project Management 2007. 3. 28. 11:15
A.L. 바라바시의 링크를 읽으면서 정종오 기자님이 쓰신 구글 직원이 소개하는 독특한 '구글 기업문화'가 생각났다. 만약 자기가 하려는 일이 아직 프로젝트가 돼 있지 않다면 '아이디어 마켓'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올리면 된다고 했다. 이 아이디어에 일정 수 이상의 다른 직원이 좋은 아이디어라고 동의하면 '20% 프로젝트'가 된다고 설명했다. '20% 프로젝트'란 용어를 쓰는 것은 자신의 업무 시간중에서 20%만 쓰는 것을 의미한다.이 '20% 프로젝트'를 여러 다른 엔지니어들과 프로젝트 매니저가 모여 계속 추진해 나간다. 이 후 '20% 프로젝트'가 어느정도 성과를 거두고 더 큰 자원(서버, 네트워크, 마케팅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임원에게 보고하고 정식 프로젝트로 승격되는 과정을 거친다. 정식 프로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