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mpeg 소개Streaming Media/Media Tools 2012. 11. 2. 14:53
FFmpeg은 완벽하고 플랫폼 의존적이지 않은 미디어 프레임워크이다. 여러가지 도구와 개발 라이브러리 제공한다. 홈페이지 제공하는 도구ffmpeg - 미디어 포맷 변환 도구 ffserver - 라이브 방송을 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 ffplay - 간단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ffprobe - 간단한 멀티미디어 스트림 분석기 개발 라이브러리libavutil - 다양한 개발 도구 라이브러리 libavcodec - 오디오/비디오 코덱 라이브러리 libavformat - 멀티미디어 컨테이너의 디먹서/먹서 라이브러리 libavdevice - 입출력 장치 제어 라이브러리 libavfilter - 미디어 필터 라이브러리 libswscale - 이미지 처리 라이브러리 libswresample - 오디오 처리 라이..
-
GNOME 플랫폼 코어 라이브러리 소개Programmer/Computer Skills 2012. 11. 2. 14:37
GNOME 플랫폼의 코어는 GLib, GIO, GObject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GLibGLib은 C로 작성한 라이브러리와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만들기 블록입니다. GLib은 그놈에서 사용하는 오브젝트 시스템과, 메인 루프 구현, 그리고 문자열과 흔히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에 대한 유틸리티 함수 모음이 들어 있습니다. Reference Manual GIOGIO는 사용하기 쉬운 최신의 VFS API를 제공합니다. 이는 프로그램이 단순하고 견고한 API를 통해 로컬과 원격에 있는 파일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시스템 추상화를 제공합니다. Reference Manual GObjectGObject는 Pango와 GTK+에서 사용하는 오브젝트 시스템입니다.Reference Manual
-
자신을 관찰하는 시간, 자신과 대화하는 시간Life/Communication 2011. 7. 26. 00:25
예전에는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았고, 산책이나 명상을 통해서 생각을 정리하곤 했었다. 결혼 이후로는 자신의 시간이 거의 없어졌다. 게다가 모바일 기기-특히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나의 일상의 대부분은 외부의 자극의 연속이 되었다. 집에서는 아내와 아들, TV, 컴퓨터. 회사에서는 업무. 출퇴근 길에는 스마트폰을 만지고 있었다. 요즘에 혼자만의 시간이라면 한티역에서 회사까지 걷는 시간이다. 이 시간은 온전히 나만의 공간으로 공상을 하기도 하고, 자신을 돌아보기도 하는 등 자신과의 대화의 시간이다. 예전에 수많은 외부 정보에 자신을 계속 노출할 때는 머리가 무겁고 속이 답답하고 바보가 되는 것 같았다. 비록 짧은 출퇴근 시간의 산책(?)이지만 마음의 건강이 많이 좋아졌다. 회사에서도 집에서도 종종 머리를 식히고..
-
대화를 잘 하는 법에 대한 고민 #2: 비폭력 대화(1)Life/Communication 2010. 5. 31. 17:54
대화에 대한 고민으로 인터넷을 검색하다보니 "비폭력 대화"라는 것을 찾았습니다. "비폭력 대화"은 "관찰->느낌->욕구->요청"의 과정입니다. 관찰 (observation) 평가를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기 느낌 (feeling) 관찰한 상황에서 내가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파악하기 필요, 욕구 (need) 나의 감정의 원인이 어떤 충족되지 않은 욕구에 위해서인지 이해하기 부탁, 요청 (request) 충족되지 않는 욕구에 대한 부탁 대화의 출발이 당신이 아니라 내가 되어서,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하는군요. 대략적인 정리를 마치고, 다음에는 좀 더 깊이있는 생각으로 정리해야겠습니다.
-
대화를 잘 하는 법에 대한 고민 #1Life/Communication 2010. 5. 25. 00:05
다름대로 정의해보면, 대화는 둘 이상의 객체가 서로의 표현을 공유하는 것이다. 둘 이상이라는 것이 물리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자신과의 대화는 물리적으로는 하나이지만, 논리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또한 대화의 상대는 사람, 동물, 사물 등의 제한도 없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포괄적인 의미의 대화이고, 일상적으로 대화는 "다른 사람과 말과 몸짓으로 이야기를 주고 받는 것"을 말한다. 현대 사회에서 대화를 하지 안으면 고립된다. 최소한 누군가 말을 걸어오면, 말을 섞기 실은 사람이 아니라면, 반응을 보여야한다. 대화를 하면 마음의 휴식, 친구, 정보 등을 얻는다. 나는 대화를 잘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예전에는 오랜 말더듬의 상처로 그리되었다고 생각을 해보았지만, 말더듬이 모임에서 본 사람들의 대부..
-
이명박 대통령의 닌텐도 사건과 GoogleLife/Society 2009. 2. 12. 11:26
성공한 제품(또는 서비스)은 창의적인 제품이 나올 수 있는 토대(생태계)를 마련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로 시장을 개척하는 회사를 육성하고 발굴 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면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지금 미국의 유명한 컴퓨터 메이저 업체들, 예를들어, Apple, HP, Google 등은 허름한 창고에서 참신한 아이디어 하나로 굴지의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는 미국 대통령이 "예쁘고 직관적인 컴퓨터를 만들라."라고 명해서 Apple이 탄생한 것이 아니고, 정보통신부장관이 "가장 지능적인 검색 시스템을 말들라"라고 해서 Google이 만들어진 것도 아니다. 이와 같은 성공은 이들 회사의 벤쳐 정신이 성공할 수 있는 토대 위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난 것이다. 그러다면 질문을 하나 해보자. "스티브잡스가 우리나라에서 태..